728x90

Menu 125

카시트는 몇 세까지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할까?

영유아를 차에 태우고 이동할 때, 카시트를 사용하지 않으면 불법이라고 한다. 우리 첫째 아이는 8살인데, 카시트 착용하지 않으면 불법일까? 카시트는 몇 세까지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할까? 1. 정말, 카시트를 사용하지 않으면 불법인가? 법 부터 살펴보자. 도로교통법 제50조에 영유아에 대한 카시트 사용에 대한 내용이 나와있다. 도로교통법 제50조(특정 운전자의 준수사항) ① 자동차(이륜자동차는 제외한다)의 운전자는 자동차를 운전할 때에는 좌석안전띠를 매어야 하며, 모든 좌석의 동승자에게도 좌석안전띠(영유아인 경우에는 유아보호용 장구를 장착한 후의 좌석안전띠를 말한다. 이하 이 조 및 제160조제2항제2호에서 같다)를 매도록 하여야 한다. 법에서는 카시트를 '유아보호용 장구' 라고 부르고 있으며, 그 사용 ..

[한글] 글자 색을 단축키로 바꾼다 (마우스 클릭은 사치)

나는 아래아 한글로 문서를 작성할 때, 작업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단축키를 많이 쓰는 편이다. 오늘은 글자 색을 단축키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써보려고 한다. 1장. 검정 글자를 빨강 글자로 바꾸기 단축키를 사용하여 검정 글자를 빨강 글자로 바꿔보자. ① 글자색 변경하려는 부분을 블록 선택한다. ② 단축키 [Ctrl] + [M] + [R] 을 눌러준다. ③ 완료. 블록 선택한 부분이 빨강색으로 변경됐다. 2장. 단축키로 변경할 수 있는 색 종류 단축키로 변경할 수 있는 글자 색 종류는 총 8가지다. (한컴 오피스에서 지정한 8가지 색) 검정(BlacK) 글자 색 : [Ctrl] + [M] + [K] 빨강(Red) 글자 색 : [Ctrl] + [M] + [R] 파랑(Blue) 글자 색 : [Ctrl] + ..

Office Tools/Hancom 2022.12.04

비(Ratio), 비율, 분수의 표현 방식

어느 분야든 마찬가지겠지만, 공학분야에서도 수많은 '비(Ratio)' 를 정의하고 활용한다. 비(Ratio)가 분수와 같이 '수식 표현'으로 되어 있으면 명확하게 이해가 되는데, '서술 표현' 으로 쓰여있는 것을 보면 가끔씩 헷갈릴 때가 있다. 이번 글에서는 비(Ratio) 에 대한 '수식 표현' 과 '서술 표현' 의 방식과 관계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사실, 초등수학에서 나오는 내용이기도 하고... 일종의 약속이자 상식적인 내용이니, 그냥 가볍게 읽어보면 좋겠다. (※ 비, 비율, 분수, 몇대몇... 표현 방법은 다양하지만, 이번 글에서는 모두 '비(Ratio)' 로 통일해서 언급함.) 1. 맛보기 문제 "A 와 B 의 비" '분수'로는 어떻게 표현하는게 맞을까? B/A 일까? A/B 일까? 답은 A/B..

Study/Tips 2022.12.03

[윈도우] 파일 확장자 일괄 변경하기 (명령 프롬프트)

예전에, 탐색기에서 파일명을 한꺼번에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글을 쓴 적이 있다. (※ 참고 : https://available-space.tistory.com/18) 이번 글에서는 파일의 확장자를 한꺼번에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써보려고 한다. 1장. 상황 설명 (※ 변경 방법부터 바로 보고싶으시면, 2장으로 넘어가세요) 내가 파일명을 한꺼번에 변경하는 경우는, 주로 우리 아이들 찍은 사진을 날짜별로 정리할 때다. 그런데, 파일명만 일괄 변경하다보면, 사소하고 작은 걸림돌을 하나 만나게 된다. 아래 그림과 같이, 한 폴더에 모여있는 사진 파일의 확장자가 JPEG 와 JPG 로 두가지인 경우, 파일명을 일괄 변경하면, 동일한 이름의 파일이 두개씩 생성된다. JPG 와 JPEG 확장자를 하나씩 가진채.....

[한글] 단축키로 서식복사(모양복사) 하는 방법 2 (표 안에서)

얼마전에 한글에서 서식복사 (모양복사) 하는 방법을 글로 남긴 적이 있다. (※ 링크 : https://available-space.tistory.com/20) 그 글 말미에 서식복사 단축키 Alt + C 는 표 에서도 적용 가능하다고 했다. 이번 글에서는 "표 안에서 단축키로 서식복사(모양복사) 하는 방법" 을 시연해보고자 한다. 1. 상황 설명 (※ 방법부터 보고싶으시면 2. 표에서 서식복사 하는 방법 으로 넘어가세요) 한글로 보고서를 작성할 때, 엑셀(Microsoft Office Excel)에서 정리한 데이터 표를 복사하여 붙여넣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런데, 엑셀→한글 로 데이터 표를 그대로 붙여넣으면, 서식이 하나도 맞지 않게된다. 예를들어보자, 아래와 같이 한글로 작성한 보고서 '표' 양식에..

Office Tools/Hancom 2022.12.02

신호의 분류 방법 (Signal Classification)

신호들은 목적과 필요에 따라 몇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이것을 '신호의 분류' (Signal Classification) 라고 한다. 때때로 신호의 분류가 아주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들이 있다. 예를들어, 신호분석을 통해 장비의 소음 및 진동 원인을 찾고자 하는 경우나, 또는 장비 품질 테스트를 위해 특정 신호의 진동을 인가 해주는 경우 등이 있겠다. 여러 문헌에 소개된 신호의 분류 방법을 소개한다. (※ 여기에 소개된 '한글명칭'은 나의 이해를 바탕으로 선택한 것이므로, 통상적인 명명법과는 다소 상이할 수 있음.) 신호의 기본적인 분류 방법 (Fundamental Signal Classification) 우선... 일반적으로 신호는 다음과 같이 3가지로 구분하며, 이것을 기본적인 신호의 분류(Fun..

[한글] 내어쓰기. 단축키로 쉽게 맞추는 방법

오늘은 한글에서 「내어쓰기 쉽게 맞추는 방법」에 대해서 나만의 팁을 써보고자 한다. 들여쓰기 vs 내어쓰기 먼저, "들여쓰기" 와 "내어쓰기"가 무엇인지 알아야 할것같다. 이 두 방법은 한 문단의 첫줄을 배치하는 방법에 대해 정의한 것이다. 우선, 들여쓰기나 내어쓰기를 하지 않은 "기본 문단"은 아래 그림과 같이 왼쪽 선이 일정하게 딱 맞다. 들여쓰기는 문단의 첫줄을 오른쪽으로 들여쓰는 방식을 말한다. 아래 그림과 같이, 문단의 첫줄만 오른쪽으로 들어갔다. 내어쓰기는 문단의 첫줄을 왼쪽으로 내어쓰는 방식을 말한다. 아래 그림과 같이, 문단의 첫줄만 왼쪽으로 나와있다. 들여쓰기는 아주 익숙하다. 대부분 문장을 시작할 때, 첫줄은 한칸~두칸 정도 띄운 상태에서 시작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면, 내어쓰..

Office Tools/Hancom 2022.11.30

신호등의 빨간색 깜빡깜빡(점멸) 신호는 무슨 뜻일까?

신호등은 붉은색, 노란색, 푸른색 3가지 색으로 여러가지 의미를 전달한다. 차를 운전하면서, 한적한 도로를 다니다보면 '빨간색만 깜빡깜빡' 하고 있는 신호를 볼 수 있다. 이 신호는 '적색 점멸 신호' 라고 한다. (※ 조금 더 엄밀한 명칭은 '적색 등화의 점멸 신호' 임.) 무슨 뜻일까? 행정안전부령 제317호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6조 ②항에서는 「신호의 종류 및 그 뜻」을 정의하고 있다. "차마는 정지선이나 횡단보도가 있을 때에는 그 직전이나 교차로의 직전에 일시정지한 후 다른 교통에 주의하면서 진행할 수있다." 쉽게 말해, 일단 "일시 정지한 후, 주의해서 통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서행하면서 지나간다" 가 아니라, 일단 멈춰야하는 것이다. 그 후, 주변을 살피고 다른 차량이나 사람이 지나..

[한글] 단축키로 서식복사(모양복사) 하는 방법

한글 팁을 하나 더 써보려고 한다. 한글로 문서작성 할 일이 많은 나에게는 아주 유용한 팁이다. 혹시라도 비슷한 처지에 있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한다. 한글 문서를 작성하다보면... 그놈의 "양식" 을 맞추기 위해서, 부분부분 서식을 자주 수정하게 된다. 특히, 동일한 서식을 여러곳에 적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반복 작업을 하느라 마음이 지치기 쉽다. (몸은 별로 안힘들겠지만) 이럴때 유용한 기능이 바로 "서식복사 (모양복사)" 다. 어떻게 하는건지, 예시 그림으로 알아보자. 단축키로 서식복사(모양복사) 하기 : [Alt + C] 예를들어, 아래와 같은 문서를 작성하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여기서, "서식복사(모양복사)" 부분만 파란색 고딕체로 변경해야 한다. 우선 하나를 골라서 모양을 변경해준다. 나머지..

Office Tools/Hancom 2022.11.25

사인파의 합성과 위상차(Phase Difference)

두 sine파 신호의 위상(Phase)이 다르다면, 그 합성파는 어떤 모습이 될까? 사실, 두 sine파의 합성파 신호의 모양은, 두 신호의 위상차(Phase Difference)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이번 글에서는, 위상차이가 있는 두 sine파의 합성을 "그래프" 를 통해 직관적으로 관찰해보고자 한다. 위상이 바뀌면 그래프는 어떻게 변하지? 먼저, 위상이 바뀌면 sine파형 그래프 자체가 어떻게 변하는지부터 알아보자. 가상의 x₁(t) 와 x₂(t) 신호를 만들어서, 진폭 A₁ = A₂ = 8 로 고정하고, 주파수는 f₁ = f₂ = 2 Hz 로 고정했다. 다만, 위상(Phase)은 변화를 줬다. x₁(t) 신호의 위상인 φ₁ 은 0º 로 고정하고, x₂(t) 신호의 위상인 φ₂ 를 0º → 360..

[윈도우] 탐색기에서 파일명 한꺼번에 바꾸기

너무너무 소소한 팁이라서, 블로그에 글로 쓰기도 사실 좀 민망한, 그런 팁 하나를 소개하고자 한다. 윈도우 "탐색기에서 파일명을 한꺼번에 바꾸는 방법"이다. 나는 아이의 사진을 연도 및 월별로 모아둔다. 그리고 파일명은 날짜로 표시한다. 같은 날, 사진을 여러장 찍은 경우가 있다. 그러면 파일명은 아래 그림과 같이 바꿔 보관한다. 같은 날 찍은 사진이 2~3장 뿐이라면, 일일이 파일명을 바꿔줘도 큰 문제가 없겠다. 그런데, 같은 날 찍은 사진이 50장 이라면 어떨까? 파일명을 일일이 하나씩 바꿨다가는... 한숨을 50번 쉴것같다. 이럴땐, 탐색기에서 여러개 파일들의 이름을 한꺼번에 바꾸는 방법을 사용한다. Step. 1 이름을 일괄 변경할 파일들을 준비한다. Step. 2 제일 마지막(아래)에 있는 파일..

사인파 합성의 계산식

sine파의 합성은 어떻게 계산할까? sine파 합성의 계산은 크게 두가지로 볼 수 있다. (1) 더하기 (2) 곱하기 그런데, 사실 sine파의 "더하기" 와 "곱하기" 는 한 몸이라고 할 수 있다. 간단한 "계산식"을 통해 sine파의 합(+) 과 곱(×) 이 어떤 연관성을 갖고있는지 알아보고, 직관적인 이해를 위해서 "그래프"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동일한 두 sine파 신호의 합(+) 계산 우선, 진폭 4, 주파수 2 Hz, 위상 0 인 두개의 동일한 sine파 신호를 만들어, x₁(t) 와 x₂(t) 라고 표시했다. (※ 계산의 편의를 위해 두 sine파 신호의 초기 위상(φ)은 '0' 으로 설정해둔다.) x₁(t) 와 x₂(t) 를 합(+) 한 신호인 y₁(t) 의 형상은 아래 그래프의 주황..

[PDF] 두꺼운 선을 얇게 보는 방법 (feat. 선 굵기 없애기)

예전 회사에서 일할 땐 PDF 로 된 도면을 매일매일 봤다. PDF를 보는 프로그램은 Acrobat Reader 를 썼었다. 그런데 간혹, 제작업체에서 제출한 도면을 보고 있자면... 도면상의 "선(Line)" 들을 지나치게 굵게 그려와서, 상세한 검토가 어려운 경우들이 있었다. 아웃라인 정도는 굵은 선으로 표시하면 좋겠지만, 너무 디테일한 부분까지 굵게 표시하면 도면 검토 자체가 정말 어렵다. 선(Line)의 굵기의 정도를 "Line Weight" 라고 한다. Acrobat Reader 에서는 아주 간단하게 "굵은선을 얇게" 만들 수 있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Line Weight 를 ON / OFF 시킬 수 있다. Line Weight 켜고 끄기 (단축키 : Ctrl + 5) Acrobat Read..

JPEG 와 JPG 는 무슨 차이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미지 파일 포맷은 JPEG 일 것이다. 화질도 만족스러운 수준인데다 파일 용량도 크지 않으니, 가성비 충실한 포맷이다. 그런데, 이름이 비슷한 JPG 라는 포맷도 상당히 많이 사용된다. JPEG 와 JPG. 이름이 비슷한데, 뭔가 다른 것 같다. 무슨 차이점이 있을까? (※ JPEG 의 읽는법은 '제이 펙' 이다. 그러나 '제이-피-이-지' 라고도 부른다.) JPEG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JPEG 이미지 포맷의 탄생은 19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80년대 초반 당시에는 이미지 파일을 복사하거나 전송하는 기술이 없었다고 한다. PC로 이미지 파일을 볼수는 있는데, 그것을 복사하거나 전송하는 행위를 할수 없었다... 는 말이 아니다. 이미지의..

도로 위 다이아몬드(마름모) 표시는 무슨 뜻일까?

운전을 하다보면 도로 위에 그려진 수많은 표시들을 보게 된다. 직진, 좌회전, 우회전 등의 화살표들은 누가 말해주지 않아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어떤 표시는 무슨뜻인지 그저 어렴풋이 짐작만할 뿐, 정확한 뜻을 알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도로 위 다이아몬드(마름모) 표시는 무슨 뜻일까? 운전을 하다보면, 도로 위에 아래 그림과 같은 다이아몬드(마름모) 모양을 가끔 보게 된다. 이 표시는 무슨 뜻일까? 이 표시의 이름은 횡단보도 예고 표시 라고 한다. 횡단보도 전 50 ~ 60 미터 지점의 노상(도로 바닥)에 표시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10 ~ 20 미터를 더 한 거리에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고 한다. 횡단보도 예고 표시가 보이면, 기본적으로 운전자는 횡단보도 앞에 정지할 수 있도록 속도를 ..

[한글] 한글에서 그림이 보이지 않을 때

회사에서 한글을 많이쓴다. 언젠가... 여러 사람들로부터 받은 한글파일(*.hwp)들을 종합하는 일을 할 때, 본문의 그림이 안보여 당황스러울 때가 있었다. 상황마다 원인이 다 다르겠지만, 나의 경우에는 그림 표시/숨기기 기능을 몰랐던 것이 원인이었다. 상황은 이렇다. 아래 그림과 같이, 본문 내 붙여진 그림이 잘 보이는 것이 정상이다. 그런데, 간혹 그림의 윤곽만 보이고 X자로 표시되면서, 그림이 보이지 않을 때가 있다. 무엇이 문제일까? 눈치를 채셨겠지만, 「그림 표시/숨기기」 기능이 「숨기기」 처리 되어 있었던 것이 문제였다. 위 그림처럼, [보기] - [그림 체크박스] 에 체크를 해 줌으로서, 그림을 다시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만약 위 그림처럼 [보기]-[그림] 체크박스가 보이지 않는다면, 아래..

Office Tools/Hancom 2022.11.20

휴민트(HUMINT)는 무슨 뜻일까?

뉴스 기사에서 심심찮게 나오는 그 단어, 휴민트. 무슨뜻일까? 휴민트 (HUMINT) '휴민트'는 '휴먼 + 인텔리전스' 합성어다. (HUMINT = Human + Intelligence) 우리말로는 '인간정보' 또는 '인적정보' 라 하며, 사람(Human)의 활동이나 접촉, 접선 등을 통해 수집된 첩보(Intelligence)또는 그러한 첩보방식을 의미한다. 휴민트라는 단어는 군의 첩보 분야에서 사용하는 '군사 용어' 다. ( ※ 첩보 : 상대편의 정보나 형편을 몰래 알아내어 보고함. 또는 그런 보고. 「표준국어대사전」) NATO(북대서양 조약기구,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에서 발행하는 용어집 「NATO Glossary of Terms and Definition..

사인파의 합성과 맥놀이(Beating)

2개의 sine파 신호를 서로 합성시키면, 새로운 주기성 신호(periodic signal)을 얻을 수 있다. 이미 잘 아는 바와 같이, 순수 sine파 신호는 아래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임의의 sine파 신호 2개 x₁(t), x₂(t) 를 합성한 신호는 어떤 형상으로 나타날까? sine파 신호 합성의 결과를 직관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가상의 x₁(t), x₂(t) 신호를 만들어 몇 가지 합성을 수행해봤다. (※ 비교 목적상, 모든 그래프의 시간(t)축은 1초로 통일하여 정리했다.) 우선, x₁(t) 신호는 연두색으로 표시하였다. x₂(t) 신호는 하늘색으로 표시하였다. 두 신호의 합(summation)은 주황색으로 표시하였다. 초기 두 신호의 주파수는 1 Hz 로 설정했다. 진폭(A)도 동일하..

크레스트 팩터 (Crest Factor)

이전 글에서 신호의 진폭을 표현하는 4가지 방법(꼭 4가지만 있는 것은 아니지만)에 대해 정리하였다. 그중에서 Peak 값과 RMS 값을 사용하여, 신호에 대한 또 다른 특성을 정의하는 인자(Factor)를 만들어낼 수 있다. 이른바, Crest Factor라는 것이다. Crest Factor의 우리말 번역은 여러 가지다. 융기인자, 파고율, 파고 지수, 파형률, 정점 계수... 등등의 이름이 있다. 저 이름들이 의미를 모아 보면, Crest Factor는 「신호 안에 산꼭대기(crest)처럼 솟아오른 모양의 요소가 어느정도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Crest Factor 는 신호의 Peak 진폭 대 RMS 진폭의 비율로 계산한다. (※ 신호들의 기준선(mean)이 0 인 경우..

겉은 바삭하게, 속은 촉촉하게... 생선굽기!

요리는 잘 못한다. 그런데 최근 그나마 할 줄 아는게 생겼다. 겉은 바삭하게, 속은 촉촉하게 생선굽기! 시작은 몇달 전 처고모님께서 보내주신 생선이었다. 이 많은 생선들을 어떻게 맛나게 구워 먹을지... 인터넷을 찾아보니 "종이호일" 을 사용해보라는 글들이 많았다. 그래서 나도 종이호일로 생선굽기 도전! "종이호일" 은 진짜... 최고의 아이템이었다. 일단 생선구우면서 기름이 튀지 않게 잡아주고, 냄새도 그리 멀리 퍼지지 않게 막아준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겉바속촉 생선구이를 가능하게 해준다. 종이호일을 이용한 나의 생선굽기를 소개해보겠다. 사실, 생선은 굽기전에 전처리를 잘 해줘야 한다. 칼로 꼬리→머리 쪽으로 긁어줘서 비늘을 다 제거하고, 비린내의 원인인 지느러미를 제거하는 등... 그러나, 오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