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General Knowledge/Common Sense 12

'한우 고기'와 '국내산 쇠고기'는 무슨 차이일까?

와이프께서 알려주신 상식을 글로 남겨본다. 지금껏 나는 '한우 고기'와 '국내산 쇠고기'가 동의어라고 생각했었는데, 사실 그 둘은 차이가 있다고한다. (어쩐지 국내산 쇠고기는 한우보다 저렴하더라...) 간단히 말하자면, 한우 고기는 '우리나라에서 한우 품종으로 태어나고 자란 소' 에서 생산된 고기를 말하고, 국내산 쇠고기는 '그 외 소(6개월 이상 국내에서 키운 수입 소 포함)' 에서 생산된 고기라고 한다.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자. 1. 법적인 구분 (※ 돼지고기는 제외하고 소고기만 언급하겠음.)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9-113호의 「소·돼지 식육의 표시방법 및 부위 구분기준」 을 참고했다. 이 고시에는 식육의 원산지 표시(제3조) 및 식육 종류표시(제4조)에 대한 내용이 나와 있다. 우선, 식..

“특례시” 란 무엇일까?

점심 먹다 TV를 보니, “용인 특례시” 광고가 나왔다. 용인시도 「특례시」가 됐구나 했다. 근데, 정작 「특례시」가 뭔지 모르는게 아닌가? 그래서 알아봤다. 「특례시」란 무엇일까? 1. 「특례시」의 기준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의 종류는 두가지로 구분한다. (※ 지방자치법 제2조(지방자치단체의 종류)) (1)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도, 특별자치도 (2) 시, 군, 구 지방자치단체의 종류로 구분하자면, 「특례시」는 「시」 에 속한다. 그런데, 왜 「시」 라고 부르지 않고, 「특례시」 라는 특별한 이름으로 부르는 것일까? 그것은 「인구 수」에 따라 달라진다. 지방자치단체 중 「인구 수 50만명 이상의 시」를 "대도시"로 구분하고, 행정 및 재정운영 등 일부 분야에서 특례를 두고 있다. (※ 지방자치..

“월(month)이 바뀌는 주(week)”는 어느 월에 속한 주 일까?

달이 바뀌어 1일이 되면, 지난달의 마지막 주 이면서 동시에 이번달의 첫째 주 인, 그런 주가 종종 생긴다. 예를들어, 만약 오늘이 2022년 12월 1일 이라면, 오늘은 11월 마지막 주 일까, 아니면 12월 첫째 주 일까? 1. 날짜에 대한 표준 : ISO 8601 「국제표준화기구」에서는 "날짜 및 시각" 에 대한 표기법을 규정한 「ISO 8601 (Representation of dates and times)」 표준을 만들었다. 우리나라는 이 표준을 기반으로 「KS X ISO 8601 (날짜 및 시각의 표기)」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이 표준에서 단서를 찾아봤다. 2. 표준에서 말하는 주(week) 표준에 따르면, 달력에 표기하는 주를 "역주(Calendar Week)" 라고 명명하며, 다음과 같..

"블루칼라, 화이트칼라"는 무슨 뜻일까? (그리고 또 다른 칼라들...)

블루칼라, 화이트칼라 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으신지? 처음 이 단어를 들었을 때, "칼라 = color" 라고 오해했던 적도 있다. 여기서 말하는 칼라는 "Collar" 이며, 우리나라 말로는 "옷 깃" 정도가 되겠다. 서양(주로 미국)에서는 Collor 에 색상 개념을 더해, 직업군을 구분하는 용어로 사용하였다. 블루칼라, 화이트칼라, 그리고 또 다른 칼라들에 대해 알아봤다. 1. 블루 칼라 (Blue Collar) 블루칼라 (Blue Collar)는 육체노동 직업군 또는 그 직업군의 종사자를 의미한다. 미국의 어원학자 Barry Popik 의 말에 따르면, '블루 칼라'는 1924년 '화이트 칼라'에 대한 반대말 개념으로 처음 사용되었다고 한다. 그 근거로서, 미국 아이오와 주에서 발간된 Times..

삼각형(△)과 역삼각형(▽) 도로 표지판의 차이는?

어느날 운전중에 교통 표지판 2개가 눈에 들어왔다. 아래 사진을 보자. 트럭 윗쪽에 삼각형(△)과 역삼각형(▽) 도로 표지판이 함께 붙어있다. 아마도 첫번째 역삼각형(▽)은 "천천히 운전하시오" 정도의 뜻인 것 같고, 두번째 삼각형(△)은 "급커브 있으니 주의하시오" 정도의 뜻인 것 같다. 그런데, 왜 삼각형을 저렇게 구분했을까? 도로 표지판 삼각형(△)과 역삼각형(▽) 은 어떤 의미이며, 어떤 차이가 있을까? 1. 삼각형 표지판 vs 역삼각형 표지판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8조(안전표지) 에 의하면, 교통 안전표지는 5가지로 구분된다. 주의표지 : 도로 상태가 위험함을 알림 규제표지 : 각종 제한, 금지 등 규제를 알림 지시표지 : 통행방법 등 지시사항을 알림 보조표지 : 주의/규제/지시 표지의 보충..

님비(NIMBY)현상은 알겠는데, 바나나(BANANA) 현상은 무슨 뜻이지?

학생 때, 사회 과목에서 님비(NIMBY) 현상이라는 단어를 배운적이 있다. 그때는 이 단어도 우리나라에서는 굉장히 핫한 신조어에 속했는데, 요즘은 골동품 같은 단어가 되어버린 것 같다. 그런데 어느날, 님비(NIMBY) 현상과 비슷한 뜻이라며, 바나나(BANANA) 현상이라는 새로운 단어가 뉴스에 보였다. (* 이제서야 내 눈에 띄였을 뿐, 오래전부터 사용되어온 시사 용어겠다.) 오늘은, 님비(NIMBY) 와 바나나(BANANA) 현상의 뜻과 차이점에 대해 조사해봤다. 1. 님비 (NIMBY) 현상이란? 님비(NIMBY) 현상은 Not In My Back Yard 의 줄임말이다. 해석하자면 "내 뒷마당에는 안된다" 정도다. 공공의 이익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시설인 것을 알지만 그래도 우리 동네에 들..

방파제와 방조제는 무슨 차이일까?

군산에 출장 간 적이 있다. 잠시 시간이 나서, “새만금 방조제”에 있는 해넘이 휴게소에 들렀다. 날씨가 맑진 않았지만, 방조제에서 보는 서해바다도 나름 운치가 있었다. 새만금 방조제 도로는 한 눈에 봐도 정~~~말 길었다. 말그대로 끝이 보이지 않는듯 했다. 새만금 개발청 홈페이지의 자료에 따르면, 새만금 방조제의 총 길이는 33.9 km 라고 한다. 해수면보다 지면이 낮은것으로 알려진 네덜란드에도 방조제가 있다. 네덜란드의 '쥬다치 방조제' 의 길이는 32.5 km 로, 새만금 방조제보다 1.4 km 짧다. 그래서 2010년 8월, 새만금 방조제는 세계에서 가장 긴 방조제로 '세계기네스월드레코드' 에 등재 되었다고 한다. 정말, 우리나라 대단한 나라 맞다. 그러다가... 문득, 방파제와 방조제는 무슨..

카시트는 몇 세까지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할까?

영유아를 차에 태우고 이동할 때, 카시트를 사용하지 않으면 불법이라고 한다. 우리 첫째 아이는 8살인데, 카시트 착용하지 않으면 불법일까? 카시트는 몇 세까지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할까? 1. 정말, 카시트를 사용하지 않으면 불법인가? 법 부터 살펴보자. 도로교통법 제50조에 영유아에 대한 카시트 사용에 대한 내용이 나와있다. 도로교통법 제50조(특정 운전자의 준수사항) ① 자동차(이륜자동차는 제외한다)의 운전자는 자동차를 운전할 때에는 좌석안전띠를 매어야 하며, 모든 좌석의 동승자에게도 좌석안전띠(영유아인 경우에는 유아보호용 장구를 장착한 후의 좌석안전띠를 말한다. 이하 이 조 및 제160조제2항제2호에서 같다)를 매도록 하여야 한다. 법에서는 카시트를 '유아보호용 장구' 라고 부르고 있으며, 그 사용 ..

신호등의 빨간색 깜빡깜빡(점멸) 신호는 무슨 뜻일까?

신호등은 붉은색, 노란색, 푸른색 3가지 색으로 여러가지 의미를 전달한다. 차를 운전하면서, 한적한 도로를 다니다보면 '빨간색만 깜빡깜빡' 하고 있는 신호를 볼 수 있다. 이 신호는 '적색 점멸 신호' 라고 한다. (※ 조금 더 엄밀한 명칭은 '적색 등화의 점멸 신호' 임.) 무슨 뜻일까? 행정안전부령 제317호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6조 ②항에서는 「신호의 종류 및 그 뜻」을 정의하고 있다. "차마는 정지선이나 횡단보도가 있을 때에는 그 직전이나 교차로의 직전에 일시정지한 후 다른 교통에 주의하면서 진행할 수있다." 쉽게 말해, 일단 "일시 정지한 후, 주의해서 통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서행하면서 지나간다" 가 아니라, 일단 멈춰야하는 것이다. 그 후, 주변을 살피고 다른 차량이나 사람이 지나..

JPEG 와 JPG 는 무슨 차이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미지 파일 포맷은 JPEG 일 것이다. 화질도 만족스러운 수준인데다 파일 용량도 크지 않으니, 가성비 충실한 포맷이다. 그런데, 이름이 비슷한 JPG 라는 포맷도 상당히 많이 사용된다. JPEG 와 JPG. 이름이 비슷한데, 뭔가 다른 것 같다. 무슨 차이점이 있을까? (※ JPEG 의 읽는법은 '제이 펙' 이다. 그러나 '제이-피-이-지' 라고도 부른다.) JPEG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JPEG 이미지 포맷의 탄생은 19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80년대 초반 당시에는 이미지 파일을 복사하거나 전송하는 기술이 없었다고 한다. PC로 이미지 파일을 볼수는 있는데, 그것을 복사하거나 전송하는 행위를 할수 없었다... 는 말이 아니다. 이미지의..

도로 위 다이아몬드(마름모) 표시는 무슨 뜻일까?

운전을 하다보면 도로 위에 그려진 수많은 표시들을 보게 된다. 직진, 좌회전, 우회전 등의 화살표들은 누가 말해주지 않아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어떤 표시는 무슨뜻인지 그저 어렴풋이 짐작만할 뿐, 정확한 뜻을 알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도로 위 다이아몬드(마름모) 표시는 무슨 뜻일까? 운전을 하다보면, 도로 위에 아래 그림과 같은 다이아몬드(마름모) 모양을 가끔 보게 된다. 이 표시는 무슨 뜻일까? 이 표시의 이름은 횡단보도 예고 표시 라고 한다. 횡단보도 전 50 ~ 60 미터 지점의 노상(도로 바닥)에 표시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10 ~ 20 미터를 더 한 거리에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고 한다. 횡단보도 예고 표시가 보이면, 기본적으로 운전자는 횡단보도 앞에 정지할 수 있도록 속도를 ..

휴민트(HUMINT)는 무슨 뜻일까?

뉴스 기사에서 심심찮게 나오는 그 단어, 휴민트. 무슨뜻일까? 휴민트 (HUMINT) '휴민트'는 '휴먼 + 인텔리전스' 합성어다. (HUMINT = Human + Intelligence) 우리말로는 '인간정보' 또는 '인적정보' 라 하며, 사람(Human)의 활동이나 접촉, 접선 등을 통해 수집된 첩보(Intelligence)또는 그러한 첩보방식을 의미한다. 휴민트라는 단어는 군의 첩보 분야에서 사용하는 '군사 용어' 다. ( ※ 첩보 : 상대편의 정보나 형편을 몰래 알아내어 보고함. 또는 그런 보고. 「표준국어대사전」) NATO(북대서양 조약기구,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에서 발행하는 용어집 「NATO Glossary of Terms and Definition..

728x90